전기전자/전자기학
-
전자기학[2] 정전기장-쿨롱 법칙전기전자/전자기학 2021. 1. 7. 02:35
무한히 큰 자유공간에 정지해있는 점전하 $q$가 존재한다고 생각해보자. 점전하는 크기도, 방향도 없으므로 공간 상에 어떠한 점을 선택하더라도 그 점에서의 전기장$E$의 방향은 $q$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이다. 앞에서 배운 자유공간에서 정전기장의 기본 가정을 다시 적용해보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. $$\oint_S E \cdot ds=E\oint_S ds=E(4\pi R^2)=\frac q {\epsilon_0}$$ $$E=\frac q {4 \pi \epsilon_0 R^2}$$ 여기서 $\frac 1 {4\pi \epsilon_0}$은 상수이므로 고등 물리에서는 뭉뚱그려서 $\frac 1 {4\pi \epsilon_0}=k=9\times10^9\left( Nm^2C^{-2} \righ..
-
전자기학[1] 정전기장-가우스 법칙전기전자/전자기학 2021. 1. 6. 00:17
-전자기학 게시물은 Cheng의 전자기학(David K. Cheng) 2nd Edition을 기준으로 작성함을 알려 드립니다.- -복습 겸 정리하며 전자기학 내용를 개념 위주로 작성할 예정입니다!- 쿨롱(Coulomb)의 법칙 $$F_{12}=a_{12}k\frac{q_1q_2}{{R_{12}^2}}$$ 두 전하가 서로 충분히 멀리 떨어져 있을 때, 각 전하량의 곱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 하는 힘이 두 전하를 잇는 직선 상에 존재한다. 서로 같은 극성이라면 척력(밀어내는 힘)을, 서로 다른 극성이라면 인력(당기는 힘)이 작용한다. 자유공간 정전기장 정전하가 자유공간의 고정된 점에 존재하고 있다고 가정하고, 이 정전하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장을 구해보자. 전기장 세기(Electric field in..